“전원주택·은퇴농장 정부지원 받으세요”

by digipine posted Nov 03, 2017
?

Shortcut

PrevPrev Article

NextNext Article

ESCClose

Larger Font Smaller Font Up Down Go comment Print

도시민들도 한 번쯤은 전원생활을 꿈꾼다. 하지만 정보가 부족한 데다 도와주는 기관도 찾지 못해 포기하기 일쑤다. 농림부는 이런 도시민들을 위해 초기정착 상담은 물론 주택을 짓는 방법도 조언해 주고 있다. 경기 안산시 한국농촌공사 농어촌연구원에는 다양한 형태의 전원주택 모델하우스 10여동이 들어서 있다. 마음에 드는 주택을 고르면 건축에 필요한 비용과 과정을 자세히 설명 들을 수 있다.

 

허윤진 농림부 농촌정책국장은 “농촌지역에 인구 유입을 유도함으로써 농촌을 활성화시킨다는 전략아래 이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도시자본을 유치하면서 농촌활성화를 도모하는 사업은 크게 세가지 유형이 있다. 민간주도의 전원주거 단지사업과 체험학습 중심 주말농원, 정년퇴직 이후의 농촌생활을 지원하는 은퇴농장 등이 있다. 이들 사업의 기반시설은 정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20~29호는 10억원, 30~49호는 15억원, 50호 이상은 20억원을 지원한다. 이 예산은 국고 80%, 지방비 20%로 분담한다. 또 전원주택을 건설하는 데 호당 3천만원 이내에서 주택 건축비를 융자해 주고 있다. 주말농원이나 은퇴농장도 유사한 개념이다. 한국농촌공사 안종운 사장은 “도시민들이 농촌에 정주하겠다는 의사만 있으면 농촌공사의 전담팀에서 맞춤형 상담을 해 주고 쉽게 농촌생활을 할 수 있도록 적극 돕겠다”고 말했다.

유상오 전문위원
원문출처_ 경향신문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 한국농촌공사 농어촌연구원에 문을 연 전원마을 주택 전시관의 목조 주택을 관람객들이 살펴보고 있다. 저작권자_ 연합뉴스.

 

전원에서 여유와 행복을 설계하세요

 

○ 전원생활 엑스포는 전원생활을 희망하는 도시민에게 정부의 지원정책 안내, 전원마을 소개, 전원생활 체험 기회 제공 등을 통해 농촌 이주에 도움을 주고자 개최되는 것이다.
○ 지난해 주로 도시은퇴자를 대상으로 개최한 ‘2006 전원마을 페스티벌’에 이어 두 번째로 개최되는 이번 행사는 모든 연령층을 대상으로 전원생활을 준비, 설계, 체험할 수 있는 축제의 장으로 마련되었다.


□ 전원생활 엑스포는 크게 전시회와 연계행사로 구성된다.
○ 전체 전시장은 특설전시장(정부정책관, 지자체관), 주택전시관, 체험장 등으로 나뉘어져 도시민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 획득, 전원생활 관련 체험 등을 한곳에서 할 수 있게 구성되었다.

 

 

구분

주요구성

장소

전원생활 알아보기
(정부정책관)

농촌 이주·정착정보 및 
정책지원 안내

특설전시장

전원마을 찾아보기
(지자체관)

17개 시·군별 도시민 유치프로그램 
소개 및 전원마을지구 전시

특설전시장

전원주택 그려보기

전원주택 모델 전시 및 상담

주택전시관

전원생활 체험하기

집짓기 체험 등 전원생활 관련 
시연 및 체험활동

체험관

전원생활 즐기기

농촌경관 사진전 작품전시, 
특산물?먹거리장터, 메밀꽃밭 및 쉼터 

전시장 곳곳

 

 

○ 연계행사는 「귀촌 선배의 전원생활 설명회」(행사기간 중 매일), 「도시민 유치 활성화를 위한 지자체 역할」 세미나, 남원 국악체험단의 국악공연 등 전통문화공연, 전원음악회 등 다채롭게 준비하였다.


□ 이번 행사 입장료는 2천원으로 어린이, 청소년, 60세 이상의 노약자, 초대권 소지자는 무료입장이 가능하다. 참관을 원하는 사람들은 행사 홈페이지(www.bravogreenlife.co.kr) 및 농어촌종합정보포탈사이트(www.nongchon.or.kr)를 통해 사전등록을 하면 입장권을 무료로 받을 수 있다.


□ 전시장 개방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 30분까지이며 첫날인 18일은 개막식 관계로 11시에 개장한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엑스포 사무국인 한국농촌공사 도농복합추진단(031-420-3583~4)으로 문의하면 된다.

문의처_ 농림부 정주지원과 이재식 사무관

전화_ 02-500-2171,2174 

 
TAG •